스티븐 호킹 "결국 과학이 이길 것"

관리자 0 7,951
영국의 저명한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박사가 미국 abc뉴스의 간판 앵커 다이앤 소여와의 인터뷰에서 “결국 과학이 종교를 이길 것”이라고 말했다.

10일 abc뉴스에 따르면 호킹 박사는 “과학과 종교가 화해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종교는 권위(authority)를 기반으로 하고 과학은 관찰(observation)과 이성(reason)을 기반으로 한다는 근본적 차이가 있다”며 “결국 과학이 이기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신(神)을 ‘자연 법칙의 구현(embodiment)’으로 정의할 수 있지만, 이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생각하는 신과는 다르다”며, “사람들은 ‘자연 법칙의 구현’이 아니라, 인간과 관계를 맺는 인격적 대상으로 신을 간주해 왔다”고 말했다. 이어 “어마어마한 우주 안에서 인간의 삶이 얼마나 미약하고 우연한 것인지를 생각하면, 그런 관계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고 주장했다.

호킹 박사의 대표적인 저서 가운데 하나는 ‘시간의 역사(A Brief History of Time)’다. 시간의 기원을 탐구하다 보면 의문은 결국 만물의 궁극적 기원으로 향하게 된다. abc뉴스는 “이 문제는 우주에 대해 지구상의 누구보다도 많이 알고 있는 호킹 박사조차도 아직 완전히 해결하지 못한 문제”라며, 호킹 박사가 “나는 우주가 존재하는 이유를 알고 싶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무신론자로 알려진 호킹 박사의 견해는 때로 종교계와 갈등을 겪어 왔다. 호킹 박사는 지난 2006년 6월 홍콩에서 열린 강연에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우주의 기원을 탐구해서는 안된다’는 당부를 한 적이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우주의 기원은 “창조의 순간이고 신의 영역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호킹 박사는 “나는 갈릴레이처럼 종교재판에 회부되고 싶지 않다”고 농담을 하며 “우주의 기원과 관련된 이론적 진전이 이뤄졌으나 아직 우주가 어떻게 시작됐는지에 대해 풀리지 않는 문제들이 있다”고 밝혔다.

요한 바오로 2세의 뒤를 이어 즉위한 베네딕토 16세도 지난 2008년 호킹 박사가 참가한 과학 회의에서 신앙과 과학 사이에 모순이 없음을 강조했다. 베네딕토 16세는 당시 “과학은 신의 창조에 관한 지식을 추구하는 것이며 창조에 관한 신앙적 이해와 경험적 과학의 증거가 상반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올해 68세인 호킹 박사는 21세에 루게릭병에 걸렸다. 당시 몇 년밖에 더 살지 못한다는 진단이 나왔지만, 지금까지 연구 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최근에는 “지구 밖에도 생명체가 존재한다는 것이 거의 확실하지만, 인간이 그것을 찾아나서면 안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Comments

Hot
코로나19 실시간 사이트
최고관리자 7294회    0
Hot
더 편하고 저렴해진 '국제전화 앱'
최고관리자 7810회    0
2024년 06월 우수회원 순위 (1위~10위)
순위 닉네임 06월 적립
포인트
총 적립
포인트
korea9999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 32,600
글쓰기, 댓글달기, 코멘트,
로그인만 하셔도 포인트가 올라갑니다.
글이 없습니다.
글이 없습니다.
미국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
지금 투자하세요!
광고를 이용해 주시면 싸이트 운영에 도움이 됩니다.


Poll
결과

New Ser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