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아이비리그 대학 첫 한국인 총장 - 다트머스대 총장 김용

관리자 0 8,636

미 아이비리그 대학 첫 한국인 총장 탄생

다트머스대, 17대 총장에 김용 하버드대 교수 선임

 
미국 동부 명문대학들을 지칭하는 ’아이비 리그’에 첫 한국인 총장이 탄생했다.

다트머스대학 재단이사회는 2일(현지시간) 김용(49. 미국명 Jim Yong Kim) 하버드 의대 국제보건.사회의학과장을 제17대 총장으로 선출했다고 밝혔다.

하버드, 예일, 다트머스, 프린스턴, 컬럼비아, 코넬, 브라운, 펜실베이니아 등 동부 8개 명문 사립대를 뜻하는 아이비리그에서 한국인은 물론, 아시아계가 총장에 선임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 신임 총장은 올 7월1일부터 제임스 라이트 현 총장으로부터 자리를 이어 받아 240년 역사(1769년 설립)의 다트머스대를 이끌게 된다.
김 신임 총장은 연합뉴스와의 전화 통화에서 “미국은 물론 세계 최고의 대학의 총장이 된 것을 매우 영광으로 생각한다”며 특히 “한국인은 물론 아시아인으로는 최초의 아이비리그 대학의 총장이라는 점에서 한국인으로서 매우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김 신임 총장은 중남미 등의 빈민지역에서 결핵 퇴치를 위한 의료구호활동을 벌여왔고 2004년에는 세계보건기구(WHO) 에이즈국장을 맡아 에이즈 치료를 위한 대대적인 활동을 벌이는 등 인류의 질병 퇴치를 위해 헌신해온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이날 뉴햄프셔주 다트머스대에서 열린 신임 총장 소개 행사의 연설에서도 자신의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난제에 도전할 수 있는 인재 육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여러분과 같은 학생들은 교수들로부터, 그리고 학생 서로 간에 배운 것을 바탕으로 세계로 나아가 세계를 보다 밝고, 생산적이고, 인도적이고 정의롭게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총장으로서 나의 일은, 여러분들이 지금까지는 상상할 수도 없었던 전례가 없는 일들을 하는 것을 지원하는 것”이라고 말해 세상의 문제에 도전하는 미래의 지도자들을 양성하는데 주력할 것임을 밝혔다.

이날 학생들과 교직원 모임에서 김 신임 총장의 선임을 발표한 다트머스대 에드 핼드먼 재단 이사장은 “김 신임 총장은 다트머스대의 사명 중 핵심인 배움과 혁신, 봉사와 관련해 가장 이상적인 인물”이라고 선임 배경을 설명했다.

1959년 12월 서울에서 태어난 뒤 5살때 아시아계 가정이 단 두 가정에 불과했던 아이오와주 머스커틴으로 부모와 함께 이민했다. 김 박사는 브라운대학을 거쳐 하버드대학에서 의학과 인류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하버드 의대 교수로 재직해왔다.

김 신임 총장은 2006년에는 미국 타임 지가 뽑은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에 선정되기도 했고, 2005년에는 US 뉴스 앤 월드 리포트에 의해 ‘미국의 최고 지도자 25명’에 뽑히기도 했다.

타임 지는 당시 김 박사가 남미에서 약품내성이 있는 결핵 퇴치를 위해 노력하고 WHO 에이즈국장으로 활동하면서 감염성 질환 근절에도 앞장섰다면서 현시대에 위대한 사상을 제공한 ’과학자와 사상가’ 분야의 유력인사로 소개했다. 또 김 박사가 공동으로 만든 비영리의료단체 ’파트너스 인 헬스’ 활동을 통해 의약품 가격 인하 운동을 펼쳐 36개국에서 결실을 보았다고 타임은 설명했다.

또 뉴욕타임스(NYT)는 김 박사가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에이즈 조정관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다고 1월31일 보도했다.

라이트 현 총장은 “다트머스 역사에서 자랑스러운 순간”이라며 “혁신적이고 열정적이며 국제적 안목을 갖춘 신임 김 총장이 새로운 시대에 대학을 이끌게 됐다는 점이 대학으로서 매우 행운”이라고 김 총장의 선임을 축하했다.

11년간 재임한 라이트 현 총장은 2009년 6월에 퇴임하겠다는 의사를 작년 봄 밝혔다. 다트머스대는 14명으로 구성된 총장선임위원회를 작년 6월에 구성해 4백여 명의 후보자를 놓고 총장 선임 작업을 진행해왔다.
 
 
다트머스대 총장 김용
 
 
1968년 아홉살 한국계 미국인 김용은 흑인민권운동가 마틴 루터 킹 목사가 암살되자 "불평등을 없애자"고 결심했다.

1964년 다섯살 때 아시아계가 두 가족밖에 없는 아이오와주 머스커틴으로 이민간 그도 백인 친구들에게 놀림깨나 받았다. 퇴계와 율곡을 연구했던 철학자 어머니는 그에게 "인간은 평등하다"고 가르쳤다. 고교를 수석졸업하고 의대에 간 그가 전공을 철학으로 바꾸겠다고 하자 치과의사 아버지는 "레지던트를 마치고 의사가 되면 허락하겠다"고 했다.
 
▶김용은 1987년 하버드대에서 의학과 인류학을 함께 공부하는 박사과정을 밟으며 동기생 폴 파머와 함께 의료자선단체 '건강의 동반자'(PIH)를 만들었다. 페루와 러시아 등 해외 결핵환자에게 치료약을 보급했다. 두 사람에게 감동한 건설업자가 전재산 3000만달러를 PIH에 내놓았다. 김용이 보낸 약으로 환자 80%가 낫는 것을 보고 세계적 인류학자 마거릿 미드는 "가난한 이들을 위해 열정과 에너지를 뿜어내는 피스톤 같다"고 했다.

▶감복한 하버드대 의대는 그를 교수로 임명하고 봉사를 강조하는 사회의학 과목을 개설해 학과장을 맡겼다. 미국 정상급 의료기관인 브리검여성병원 사회의학부장, 공공보건대학원 공공보건·인권센터장 자리도 내줬다. 하버드대 의대가 한 사람에게 주요 보직 세 자리를 모두 맡긴 것은 처음이었다.

▶2002년 고 이종욱 박사가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 선거에 나서자 그는 하원의원 55명의 지지성명을 받아내며 도왔다. 이 박사가 이끄는 WHO의 에이즈국장이 된 그가 에이즈 치료자를 30만명에서 150만명으로 끌어올리자 세계가 놀랐다. 이 박사는 그를 가리켜 "장차 하버드대 총장감"이라고 했다. 그는 2003년 맥아더재단 펠로상을 받았고 2004년 뉴스위크의 '2004년의 13인', 2006년 타임의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에 선정됐다.

▶김용이 미국 동부 명문 8개 사립대를 가리키는 아이비리그의 다트머스대 차기 총장에 선출됐다. 한국인은 물론 아시아계 최초의 아이비리그 총장이다. 그는 "지금까지는 가능성이 적어 보이는 문제에 몸을 던져 해결해 왔지만 이제 차세대들에게 문제에 맞서 싸우는 용기를 가르칠 때가 된 것 같다"고 했다. 한국에서 나 미국에서 자란 이민 1.5세로 존경과 기대를 한몸에 받는 그를 보며 새삼 한국인이라는 게 자랑스럽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Comments

Hot
김수환 추기경의 회고록 `추기경 김수환 이야기`에 소개된 동성상업학교재학 시절 추기경 모습 (가운데)
김수환 추기경의 발자취
관리자 7325회    0
Hot
아이팟 9인치 스크린 나온대
관리자 6798회    0
Hot
이지연, 결혼 18년 만에 이혼
관리자 8050회    0
Hot
세종대왕은 IT대왕
관리자 7322회    0
2024년 06월 우수회원 순위 (1위~10위)
순위 닉네임 06월 적립
포인트
총 적립
포인트
korea9999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600 35,000
글쓰기, 댓글달기, 코멘트,
로그인만 하셔도 포인트가 올라갑니다.
글이 없습니다.
글이 없습니다.
미국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
지금 투자하세요!
광고를 이용해 주시면 싸이트 운영에 도움이 됩니다.


Poll
결과

New Ser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