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火難…청동거북의 저주 때문?

관리자 0 5,886
경남 창녕의 화왕산() 화재 이후 인터넷에서 ‘해태저주’, ‘청동거북의 저주’ 등 괴담이 돌고 있다. 촛불시위, 용산 참사 등 잇단 ‘불’과 관련된 참사 때마다 되풀이되던 괴담이 숭례문 참사 1주년을 맞아 더욱 불거지고 있는 것이다.



괴담의 골자는 ‘불을 먹는다’는 상상의 동물인 해태 상이 광화문 공사현장에서 먼지와 소음에 시달리면서 전국에 가뭄이 들고 화왕산에도 불이 났다는 것.

더구나 지난해 제 자리로 돌아간 해태상이 원래 위치와는 조금 다르게 자리 잡고 있어 소문을 더욱 부채질 하고 있다. 문화재청은 광화문 공사를 하면서 해태 상을 창고에 치웠지만 지난해 여름, 지금의 자리에 놓았다. 그런데 이 위치가 원래 자리보다 도로 뒤쪽에 있다는 것이다.

풍수지리학적으로 관악산은 불의 산() 또는 화형산()으로 불렸다. 이 때문에 광화문의 해태상은 관악산의 화기를 막기 위해 세워졌다는 속설이 있다.

설상가상으로 지난 9일 대보름 억새 태우기 행사 도중 수 십 여명의 사상자를 낸 화왕산도 예부터 ‘불의 기운’이 강한 산으로 알려져 있다. 과거에는 화산활동이 활발했다고 해서 지역에서는 ‘큰 불 뫼’로 불리기도 했다.

화왕산 아래에는 ‘용을 본다’는 뜻의 관룡사()라는 오래된 사찰이 있는데, 공교롭게도 이 곳에도 역시 해태상이 있다. 범종각의 큰 북을 나무로 깎아 만든 해태상이 받치고 있는 것. 관룡사에 따르면 이곳 해태는 큰 탈 없이 제자리에 잘 있다고 한다.
또 다른 괴담은 지난 9일 최초 공개된 ‘청동용두()의 귀()’가 화왕산 참사를 몰고 왔다는 것이다.

숭례문 앞 연못인 ‘남지’의 터에서 발견된 ‘청동용두의 귀’는 음양오행 상 물을 상징하는 ‘현무()’로 추정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숭례문 현판을 세로로 쓴 것이 관악산의 화기를 막기 위한 것인 만큼 이 유물 역시 화기를 막기 위한 차원에서 만들어 연못 속에 넣은 것으로 보았다.

이 유물은 1926년 발견된 뒤 조선총독부 박물관을 거쳐 국립중앙박물관이 보관했으나 숭례문 참사 1주년을 기념해 전시된 것이다. ‘청동용두의 귀’는 10일 특별전 시작에 앞서 9일 언론에 먼저 모습을 드러냈다. 결국 연못 속에 있어야 할 물의 신()이 뭍으로 나와 ‘구경꺼리’가 되는 바람에 저주가 시작됐다는 것이다.

호사가들이 풍수지리를 내세워 괴담으로 포장하는 일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앞서 지난해 숭례문 화재때는 광화문 복원공사 현장에 있던 해태상이 다른 곳으로 치워져 숭례문이 혼자 불기운을 감당하지 못해 화마에 휩싸였다는 말이 돌았다. 최근 용산 참사 때도 관악산에서 숭례문을 거쳐 광화문까지 불기운이 지나가는 일직선 상 길목에 용산이 있어 화재가 발생했다는 소문이 돌았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Comments

Hot
이젠 더 떨어질데도 없겠지
관리자 6737회    0
Hot
3천억원짜리 집은 '집'이 아니다
최고관리자 8945회    0
Hot
할리우드의 여배우들은 머리가 없다
최고관리자 9526회    0
2024년 06월 우수회원 순위 (1위~10위)
순위 닉네임 06월 적립
포인트
총 적립
포인트
korea9999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 32,500
글쓰기, 댓글달기, 코멘트,
로그인만 하셔도 포인트가 올라갑니다.
글이 없습니다.
글이 없습니다.
미국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
지금 투자하세요!
광고를 이용해 주시면 싸이트 운영에 도움이 됩니다.


Poll
결과

New Ser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