냄새제거 … 스트레스 싹~

관리자 0 5,761

허우대 멀쩡한 직장인 M씨.

웬만해선 한여름에 신발을 벗고 들어가는 음식점에 가지 않는다.

신발을 벗고 음식점에 들어서는 순간 모든 이들의 시선이 자신에게 집중되는 것 같기 때문이다.

발도 자주 씻고 무좀이 있는 것도 아닌 데 발 냄새가 심하게 나는 것 같아 여름에는 마음놓고

신발을 벗을 수 없다고 하소연을 한다.

 

이처럼 "무좀이 있는 것도 아닌 데 왜?" 라는 의문이 든다면 평소 발 냄새를 유발하는 생활 습관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닌지 자신의 발 관리법에 대해 생각해 보자. 비단, 발 냄새뿐만 아니다.

 

입 냄새, 겨드랑이 냄새부터 여자들이라면 생리 때 나는 냄새까지 우리 몸에서 나는 냄새는 다양하다.

몸에서 나는 부위별 냄새의 원인과 예방법은 무엇일까?

  


 

  

생리적인 입 냄새로 공복시, 월경시, 음식물과 약물에 의해 구취가 날 수 있다.

입에서 나는 냄새의 대부분은 입안의 문제 때문에 생기는 경우가 90%를 차지하는 데

이는 치아 사이와 혀에 있는 혐기성 박테리아균의 증식이 원인이다.

  

또 축농증이나 비용종 등 비강에 문제가 있는 경우 구취가 발생할 수 있고 간혹 몸에

다른 병이 있는 경우에도 구취가 생길 수 있다.

  

한림대 성심병원 가정의학과 에서는 "드물게 폐렴, 간이나 콩팥이 좋지 않은 경우나 당뇨와 같은

대사성질환이 있는 경우 냄새를 유발할 수 있으나 관리를 잘 하고 있는 당뇨에서는 냄새가 나는 경우가

거의 없다." 며 "외래를 찾는 환자 중 전신질환에 의해 구취가 생기는 경우는 흔치 않으므로

구취를 질병과 연관시켜 확대 해석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고 말한다.

  

☞ 구취 예방은 이렇게!

  

- 잇몸 염증 및 치과질환이 있다면 적절한 치료를 하는 것이 우선이다.
- 깨끗한 구강관리가 핵심. 이를 위해서는 반드시 식후 이를 닦는 습관이 중요하고 혀의 뒷부분까지 닦는다.

- 양치를 하기 힘든 경우라면 가글을 이용하고 구강이 건조하거나 식사를 한 경우

 5분 정도 껌을 씹는 것도 도움이 된다.
- 입이 건조해지면 세균이 증식하기 좋아 입 냄새가 나기 쉽다. 입안이 건조해지지 않게

 물을 자주 마시거나, 수분이 많은 과일을 먹어 충분한 수분섭취를 해주고 입안을 자주 헹궈주는 것도 좋다.

- 금연을 한다. 흡연을 하면 입안이 건조해지기 쉽고 입 냄새를 유발한다.

  


 

   

시원한 민소매 옷 한 번 입어보지 못하고 버스나 지하철 손잡이도 마음껏 잡아보지 못하는 괴로움.

액취증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의 얘기다.

액취증의 역한 냄새를 유발하는 원인은 지방산이 겨드랑이의 아포크린 한선이라는 땀이 분비되는 곳에

존재하는 세균에 의해 산화·분해되어 발생하고, 여기에 표피의 암모니아 등이 가세하기 때문이다.

 

액취증은 보통 사춘기를 전후한 젊은 나이부터 많이 생기고 환자의 80% 정도가 가족력이 있으며

땀의 분비가 증가하는 다한증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다한증은 손, 발, 겨드랑이에 부분적으로 땀의 분비가 증가하는 경우를 말하는 데

날씨가 더워지거나 육체적인 활동이 증가할 때, 또는 스트레스를 받거나 감정적인 변화가 있을 때 증가한다.

 

☞ 액취 예방은 이렇게!

 

- 자주 씻어 몸을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제모를 한 후 파우더를 바르거나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제를 이용한다. 데오드란트를 사용해도 일시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
- 발한을 억제하는 치료도 이용할 수 있는 데 일반적으로 처방을 받은 염화알루미늄 용액이나

   항생제 등을 사용한다. 이외에 보톡스 주사를 맞을 경우 땀구멍을 막아 6~8개월 정도 땀 분비를

   억제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 생활에 심한 지장을 줄 경우라면 액취증의 근본 원인인 아포크린 한선을 제거하는

   수술적인 치료를 고려해 봐야 한다.

     

   

발에는 많은 땀샘이 있다. 보통 양말을 신고 생활하기 때문에 환기되지 않은 밀폐된 공간,

고온 다습한 환경이 박테리아균과 곰팡이를 잘 자라게 하고 이런 균이 각질 등 피부의 죽은 세포와

반응해 나쁜 냄새를 만들게 된다.

  

또한 무좀은 곰팡이 균에 의한 병이므로 발에 무좀이 있는 경우 냄새가 더 잘 발생할 수 있다.

  

☞ 발 냄새 예방은 이렇게!

  

- 무좀이 있다면 무좀을 치료한다.
- 자주 발을 씻는 것이 좋고 씻은 후 발가락 사이사이를 신경 써서 완전히 말리는 것이 중요하다.

   가급적 면양말을 신어 통풍이 잘 되게 하고 같은 신발을 이틀 연속으로 신지 않는 것이 좋다.

   또한 여성이라면 샌들을 신거나 남성의 경우 실내에서는 슬리퍼를 신는 것도 도움이 된다.

   

   

대부분 머리에 문제가 있어서라기보다 머리를 감고 바로 머리를 묶거나 머리를 덜 말린 상태에서

모자를 오랫동안 쓰고 있을 경우 흔히 나타난다.

  

☞ 머리 냄새 예방은 이렇게!

  

- 머리를 감고 난 후 드라이의 찬바람이나 자연 바람으로 머리를 말려준다.
- 머리를 자주 감는 것이 좋지 않지만 여름철에는 하루에 한 번은 감아야 한다.

  

흔히 몸에서 냄새가 나면 어떤 곳에 이상이 있기 때문이라고 걱정하는 분들이 많은데,

특별히 몸에서 냄새가 난다고 해서 병이 있는 것이 아니므로 큰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된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Comments

Hot
김소연, 드레스 퀸은 바로 나!
관리자 5622회    0
Hot
물에 잠긴 롤러코스터
관리자 7578회    0
Hot
매혹적인 메간폭스
관리자 6200회    0
Hot
천연 정력제 블루베리
관리자 6802회    0
Hot
굿모닝, 바나나 굿바이, 뱃살?
관리자 5995회    0
2024년 06월 우수회원 순위 (1위~10위)
순위 닉네임 06월 적립
포인트
총 적립
포인트
korea9999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 32,600
글쓰기, 댓글달기, 코멘트,
로그인만 하셔도 포인트가 올라갑니다.
글이 없습니다.
글이 없습니다.
미국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
지금 투자하세요!
광고를 이용해 주시면 싸이트 운영에 도움이 됩니다.


Poll
결과

New Ser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