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 그랑프리 개막] 시속 320㎞ 질주 … 초음속 전투기 중력 맞먹어
페이지 정보
관리자 작성일10-10-23 10:44 조회3,266회 댓글0건본문
‘2010 F1 코리아 그랑프리’가 개막된 22일 첫 연습 주행에서 페라리의 펠리페 마사(29·브라질)가 트랙을 질주하고 있다. [연합뉴스]
세상에 24명뿐인 포뮬러원(F1) 드라이버는 시련과 마주하는 존재다. F1 머신(경주용차)의 콕핏(조종석)은 비좁고 무덥다. 속도를 높이면 엄청난 압력이 몸을 짓누른다. 극도의 신체적·정신적 스트레스 속에서 머신을 제 몸처럼 자유자재로 다뤄야 한다. 체력은 기본, 정신력은 필수다. 24일 열리는 코리아 그랑프리(GP) 본선 우승자는 두 시간여 동안 상대 선수는 물론 온갖 악조건을 이겨낸 드라이버다.
◆3~4L의 땀을 쏟아=드라이버가 가장 먼저 이겨내야 하는 것은 더위다. 그들은 세상에서 가장 뜨거운 의자에 앉는다. 드라이버 등 뒤에는 1분에 1만8000번 회전하는 엔진이 있다. 잦은 급정지로 브레이크 패드는 섭씨 1000도 이상 달아오른다.
머신들의 고속주행으로 달궈진 아스팔트의 복사열까지 더해지면 콕핏 내 온도는 섭씨 50도까지 치솟는다. 드라이버는 화재 및 사고에 대비해 특수 재질의 두꺼운 레이싱 슈트를 입는다. 게다가 콕핏은 드라이버의 체형에 꼭 맞게 설계돼 있다. 안전벨트는 드라이버를 옥죈다. 이 때문에 드라이버는 두 시간가량의 레이스 동안 3~4L의 땀을 쏟아낸다. 경기가 끝나면 몸무게는 5㎏ 가까이 줄어든다.
탈수 증세를 막기 위해 드라이버의 헬멧에는 음료를 섭취할 수 있는 취수구가 따로 있다. 스티어링휠(운전대)에 달린 단추를 누르면 드라이버의 입과 연결된 빨대를 통해 음료가 자동으로 공급된다. 음료에는 미네랄 소금이 함유돼 있다.
◆일반인은 기절할 정도의 압력=드라이버가 견뎌내야 하는 건 더위만이 아니다. 드라이버는 경기 내내 평균 시속 230㎞, 최고 시속 320㎞로 달린다. 시속 320㎞로 달리다 급회전하거나 정지할 경우 안전벨트를 통해 몸에 가해지는 압력이 중력 가속도(G-force)의 5배(5G)다. 초음속 전투기의 조종사가 느끼는 것과 같은 크기다.
일반인의 경우 이 정도 압력을 받으면 기절한다. 놀이공원의 고속 롤러코스터를 탔을 때 느끼는 중력 가속도가 2G 정도다. 최연소 월드챔피언 루이스 해밀턴(맥라렌)은 F1 드라이버로서 가장 힘든 점을 “끊임없이 가해지는 중력 가속도”로 꼽았다. 머신이 가속할 때 드라이버들이 맞닥뜨리는 신체적 변화도 만만치 않다.
고속주행 시 정면의 시야가 야구공 크기로 좁아진다. 순간적으로 사물이 느리게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시각 둔화 현상’도 경험하게 된다. 앉은 자세에서 가속과 감속을 반복하다 보면 피가 하체로 쏠려 다리가 급격하게 무거워지고 반응속도가 떨어진다.
◆심장박동 정상 상태의 3배=드라이버는 이런 악조건 속에서 한 치의 오차 없이 머신을 다뤄야 한다. 200분의 1초 만에 기어를 바꾸고, 스티어링휠에 달린 버튼을 눌러 브레이크의 강도와 앞날개 각도를 조절한다. 엔진까지 조율해야 한다.
긴박감과 물리적 압박 탓에 드라이버의 맥박 수는 분당 180회 이상으로 치솟는다. 정상 상태의 3배 가까이 된다. 드라이버와 감독은 각종 변수를 제어하기 위해 쉴 새 없이 교신하며 전략을 논의한다.
◆3~4L의 땀을 쏟아=드라이버가 가장 먼저 이겨내야 하는 것은 더위다. 그들은 세상에서 가장 뜨거운 의자에 앉는다. 드라이버 등 뒤에는 1분에 1만8000번 회전하는 엔진이 있다. 잦은 급정지로 브레이크 패드는 섭씨 1000도 이상 달아오른다.
머신들의 고속주행으로 달궈진 아스팔트의 복사열까지 더해지면 콕핏 내 온도는 섭씨 50도까지 치솟는다. 드라이버는 화재 및 사고에 대비해 특수 재질의 두꺼운 레이싱 슈트를 입는다. 게다가 콕핏은 드라이버의 체형에 꼭 맞게 설계돼 있다. 안전벨트는 드라이버를 옥죈다. 이 때문에 드라이버는 두 시간가량의 레이스 동안 3~4L의 땀을 쏟아낸다. 경기가 끝나면 몸무게는 5㎏ 가까이 줄어든다.
탈수 증세를 막기 위해 드라이버의 헬멧에는 음료를 섭취할 수 있는 취수구가 따로 있다. 스티어링휠(운전대)에 달린 단추를 누르면 드라이버의 입과 연결된 빨대를 통해 음료가 자동으로 공급된다. 음료에는 미네랄 소금이 함유돼 있다.
◆일반인은 기절할 정도의 압력=드라이버가 견뎌내야 하는 건 더위만이 아니다. 드라이버는 경기 내내 평균 시속 230㎞, 최고 시속 320㎞로 달린다. 시속 320㎞로 달리다 급회전하거나 정지할 경우 안전벨트를 통해 몸에 가해지는 압력이 중력 가속도(G-force)의 5배(5G)다. 초음속 전투기의 조종사가 느끼는 것과 같은 크기다.
일반인의 경우 이 정도 압력을 받으면 기절한다. 놀이공원의 고속 롤러코스터를 탔을 때 느끼는 중력 가속도가 2G 정도다. 최연소 월드챔피언 루이스 해밀턴(맥라렌)은 F1 드라이버로서 가장 힘든 점을 “끊임없이 가해지는 중력 가속도”로 꼽았다. 머신이 가속할 때 드라이버들이 맞닥뜨리는 신체적 변화도 만만치 않다.
고속주행 시 정면의 시야가 야구공 크기로 좁아진다. 순간적으로 사물이 느리게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시각 둔화 현상’도 경험하게 된다. 앉은 자세에서 가속과 감속을 반복하다 보면 피가 하체로 쏠려 다리가 급격하게 무거워지고 반응속도가 떨어진다.
◆심장박동 정상 상태의 3배=드라이버는 이런 악조건 속에서 한 치의 오차 없이 머신을 다뤄야 한다. 200분의 1초 만에 기어를 바꾸고, 스티어링휠에 달린 버튼을 눌러 브레이크의 강도와 앞날개 각도를 조절한다. 엔진까지 조율해야 한다.
긴박감과 물리적 압박 탓에 드라이버의 맥박 수는 분당 180회 이상으로 치솟는다. 정상 상태의 3배 가까이 된다. 드라이버와 감독은 각종 변수를 제어하기 위해 쉴 새 없이 교신하며 전략을 논의한다.
감독은 팀 라디오를 통해 타이어 교체 시기를 알려주고, 엔진을 조종하라는 지시를 내린다. 이 같은 감독의 지시에 기민하게 반응하는 드라이버가 레이스를 유리하게 전개할 수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